실험실 안전
AQA에서 실험실 안전을 위한 설계는 다음의 법률을 참고하여 제안합니다.
대학 실험실 안전관련 개별법 현황
구분 | 세부구분 | 관련 법 | |
---|---|---|---|
생 물
생 명 방사능 (A) |
생 물 생 명 (LMO) |
■「생명공학육성법」제15조 • 유전자재조합실험지침 ■「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」제92조 제2항 제1호 •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통합고시 ■「실험동물에 관한 법률」제5장 ■「감염 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」제23조 |
|
방사능 |
■「원자력안전법」제55조 • 원자력안전위원회 규칙 제14호 방사선 안전관리 등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 |
||
화학(B) |
■「화학물질관리법」 제24조 • 시행규칙 [별표5]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설치 및 관리 기준 |
||
기계(C) |
■「산업안전보건법」33조 • 위험기계·기구 방호조치 기준 •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규칙 ■「산업안전보건법」제2편 제1장 • 기계·기구 및 그 밖의 설비에 의한 위험예방 |
||
전기·전자(D) |
■「산업안전보건법」제2편 제3장 • 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|
||
미술(E) |
■「산업안전보건법」33조 • 위험기계·기구 방호조치 기준 ■「산업안전보건법」제2편 제1장 • 기계·기구 및 그 밖의 설비에 의한 위험예방 |
||
체육(F) |
■「체육시설의 설치·이용에 관한 법률」제14조 • [별표6] 안전·위생 기준 [시행 2015.6.23.] |
||
공통
|
일반사항 |
■「산업안전보건법」 • 제2편 안전기준 기계·기구 및 그 밖의 설비에 의한 위험예방 폭발·화재 및 위험물누출에 의한 위험방지 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• 제3편 보건기준 관리대상 유해물질, 소음 및 진동, 이상기압, 온도·습도, 방사선, 병원체, 분진, 밀폐공간 작업 에 의한 건강장해의 예방 ■「폐기물관리법」제13조 • [별표5] 폐기물의 처리에 관한 구체적 기준 및 방법 |
|
건축 |
■「건축법」제49조 • 건축물의 피난시설 및 용도제한 등 |
||
설비
|
전기 |
■「전기사업법」제67조 • 전기설비기술기준 |
|
가스 |
■「고압가스안전관리법」제4조 • 시행규칙 [별표8] 고압가스 저장·사용의 시설·기술·검사 기준 ■「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」27조 • [별표15] 액화석유가스 사용시설의 시설·기술·검사기준 |
||
소방 |
■「소방시설 설치·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」제10조 • 소방시설의 설치 및 유지관리 등 |
01 Lab Ventilation
1. 설계시 가장 기술적으로 민감한 부분이고, 안전하고 쾌적한 작업환경 구현을 위해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. 실험실의 급기 및 배기는 후드의 개수, 배관의 크기,
배관의 길이에 따라 송풍기 사양이 결정이 되며 배기되는 물질에 따라 덕트 배관의 재질을 적절하게 선정하여야 합니다.
2. 공사범위 : 급·배기 덕트 공사(PVC, 스파이럴, 타포린), 덕트 증설공사 가능.
3. 송풍기 사양결정 : 송풍기 사양결정은 산업안전보건에 관한규칙 제어속도를 기준으로 풍량을 산출합니다.
-
① 풍량(Q)=60·A·Vc
(포위식 후드의 경우 (일반적으로 흄후드))Vc:제어속도, A:개구면의 단면적 -
② 풍량 (Q) = 60∙Vc∙ (10X2+A) (암후드의 경우)Vc:제어속도, X:제어거리, A:후드의 단면적
-
③ 풍량 (Q) = 60∙1.4∙P∙X∙Vc• (상방형 캐노피의 경우)Vc:제어속도, P:후드의 둘레, X:제어거리
⑤ 송풍기 Hp 결정은 아래 식의 의하여 산출합니다.
Hp=Q·Pt/(4500·η) Q:풍량, Pt:정압, η:송풍기 효율
02 Lab Gas System
1. 분석업무에 사용되는 모든 가스의 정압, 정량 공급과 절대안전이 원칙이며 사전에 분석기기나 장비별 사양과 연결부의 규격, 필요압력,
용량을 확인하여 가장 안전하고 편리하도록 Gas공급 및 관리시스템을 제공합니다.
2. 공사 범위 : 가스 라인 공사, 레귤레이터, 역화방지기, 가스감지기, 가스저장캐비닛
03 Lab Electric System
1. 실험실 장비 현황 및 배치에 따라 분전함을 따로 구성해야 되며 각 장비 용량에 맞춰 설계하며 차단기의 용량도 같이 계산해야 합니다.
고가의 분석장비에는 AVR (Automatic Voltage Regulator, 자동전압조정기) 과 UPS(Uninterruptible Power Supply, 무정전 전원 장치)와 같은 전기 공급 설비는 필수적입니다.
2. 전기 배선, 증설공사, AVR 및 UPS 설치
04 Lab Emergency
1. 비상샤워, 안면 및 안구 세척

※ 규정